정부는 경북 의성 산불 당시 위험을 무릅쓰고 주민 대피를 도운 인도네시아인들에게 장기 거주 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
다가오는 장마철 산불 피해 지역에 산사태 발생을 막기 위한 2차 피해 예방 대책도 세우겠다고 알렸다.
이한경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산불 때 대피에 어려움을 겪던 할머니 등을 도운 인도네시아 국적의 세 분에게 특별기여자 체류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며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이웃의 생명을 구한 분들에게도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에 인도네시아 근로자 3명은 F-2 자격을 얻게 된다.
F-2 자격은 법무부 장관이 대한민국에 특별한 기여를 했거나 공익 증진에 이바지했다고 인정하는 사람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 차장은 산불 피해지에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그는 "장마철이 오기 전까지 산불 피해지역의 산사태와 비탈면 붕괴 등 토사재해에 대비한 대책을 차질 없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오는 12일 산사태 우려 지역 긴급 진단을 마무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6월 말까지 방수포 설치 등 응급 복구를 추진한다.
행안부는 국토교통부, 산림청, 지자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관계부처 합동 토사재해 최소화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산불 대피에 취약한 노인요양시설 입소자 상태를 고려해 우선 대피 대상자를 선정하고 입소자별 전원 가능한 시설과 이동 수단을 미리 확보해 신속하게 조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재민에게 지급된 응급구호 세트, 모포, 생필품 및 식음료 등 구호 물품은 100만점에 육박했다.
심리지원은 8542건 이뤄진 것으로 집계됐다.
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서 모인 국민 성금은 지난 4일 기준 925억1000만원이다.
지난달 27일부터 가동 중인 중앙합동지원센터에 접수된 이재민 지원은 모두 1723건이다.
이 중 '시설·주거 복구'(484건)가 가장 많았다.
방송·통신 및 상·하수도 시설에 대한 복구는 완료됐고, 전력 장애 복구율도 99.9%에 달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