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대적인 관세 공세를 펼치자 일본주요 기업들이 본격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닛산자동차는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추진하며 관세 회피에 나서고, 닌텐도는 가격 인상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있다.
연합뉴스는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을 인용해 이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일본 규슈 후쿠오카현 공장에서 미국 수출용 차량을 생산해 왔던 닛산자동차는 이 물량을 미국에서 생산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빠르면 올여름부터 실행에 옮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닛산은 지난해 미국에서 약 92만 대를 판매했으며, 이 중 15만 대(16%)는 일본에서 수출한 물량이다.
닛산이 미국 내 증산을 추진하는 차량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로그다.
후쿠오카현 공장에서는 로그를 연간 12만 대가량 생산해 왔다.
당초 실적 부진으로 미국 내 생산을 줄일 계획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차에 25%의 추가 관세를 예고하자 감산 계획을 철회하고 오히려 증산을 검토하게 됐다.
닛케이는 "(수입차에 대한 25%의) 추가 관세 발동 후 일본에서 생산 이전 움직임이 나타난 것은 처음"이라며 일본 공장 생산량이 줄어들면 중소 부품업체 등이 타격받을 수 있다고 짚었다.
닛산이 일본 내 공급망을 유지하려면 연간 100만 대를 생산해야 하지만, 현재는 이미 66만 대 수준으로 축소된 상태다.
일본 자동차 업체 중에 일본산 차량을 미국에 가장 많이 수출하는 도요타자동차는 당분간 현 체제를 유지하면서 대응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고 닛케이가 전했다.

신문은 "다른 자동차 업체에서도 일본에서 미국으로 생산을 이전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면서 "자동차 제품 출하액은 일본 국내총생산(GDP)에서 약 10%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생산 이전은 GDP 감소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일본 산업의 공동화 대책 수립이 과제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약 8년 만에 신제품을 내놓는 닌텐도 역시 전략 변경에 들어갔다.
당초 9일로 예정했던 차세대 콘솔 게임기인 ‘닌텐도 스위치 2’의 미국 예약 판매를 연기하기로 했다.
중국과 베트남 등에서 닌텐도 스위치를 생산해 왔는데, 두 국가에 대한 트럼프 정권의 상호 관세 부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오는 6월 5일 출시 계획에는 변함이 없지만, 일각에서는 닌텐도 스위치2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기존에 책정한 미국 내 판매 가격은 449.99달러(약 65만7000원)지만 닌텐도가 ‘관세 영향과 시장 환경 변화’를 이유로 예약 개시 시기를 늦추면서 가격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