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트럼프 상호관세에 亞 각국 엇갈린 대응…中은 맞불, 베트남은 무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주 발표한 상호관세에 아시아 국가들이 상반된 대응에 나섰다.
중국은 보복 조치로 맞섰고, 베트남과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 국가들은 관세 인하와 무역 확대를 제안하며 협상에 나섰다.
  
54%의 관세(추가관세 20% 포함)로 가장 높은 관세를 부과받게 된 중국은 상호관세 발표 이튿날인 4일, 오는 10일부터 미국에 동일한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발표 당일부터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고,  미국 군수기업 16곳에 대해 이중용도 물품 수출을 금지하는 추가 제재도 단행했다.
 
반면 46%라는 고관세를 부과받은 베트남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제로'로 낮추겠다며 중국과 정반대의 전략을 택했다.
아울러 미국산 항공기, 액화천연가스(LNG) 등 수입 확대를 제안하며 적극적인 협상 의지를 드러냈다.
 
또한 '서열 1위' 또럼 당 서기는 4일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로 정상 간 통화를 하고 미국과의 협력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방금 베트남 당 서기와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며 “(베트남은) 미국과 협상을 맺는다면 베트남의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어 “곧 만나게 될 것을 기대한다”며 글을 올렸다.
베트남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 방문 초청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도 49%에 달하는 고관세를 부과받은 가운데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35%에서 5%로 대폭 인하하겠다고 발표했다.
캄보디아는 미국 정부에 자국 제품에 대한 49%의 관세 유예를 요청하며 “19개 제품 카테고리를 최대 35% 관세율에서 5% 적용 관세율로 즉시 인하해 미국산 제품 수입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36% 관세를 부과받은 태국 역시 미국산 농산물과 석유, 에탄 등의 수입 확대 방침을 밝혔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세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양측에 공정한 방식으로 무역 수지를 조정하기 위해 가장 빠른 시일 내에 미국 정부와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한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오는 7일 미국 백악관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관세 협상에 나설 예정이라고 이스라엘 총리실이 5일 밝혔다.
이스라엘은 17%의 관세를 부과받았는데, 이번 방문이 성사되면 상호관세 발표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 협상을 시도하는 첫 정상회담이 된다.

아주경제=이은별 기자 star@ajunews.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쎌쥙�ν걫占쎌뼔占쏙옙�용쐻�좑옙
HTML占쎌쥙�ο㎖猷잜맪�좑옙
雅�퍔瑗띰㎖�곗삕�⑨옙��뜝�뚯뒠占쏙옙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