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민 3193명… 폐기물 8.4만t
대피 도운 外人엔 장기거주자격
지난달 열흘간 계속된 영남권 산불 피해액이 2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정부는 다음달 초까지 이재민 약 3000명에 대한 임시주택 제공을 마무리하는 한편 장마철이 오기 전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 |
지난 3월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일주일간 지속된 산불로 폐허가 돼 있다. 의성=연합뉴스 |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30일까지 이어진 영남권 산불로 사망 31명과 중경상 51명 등 인명피해와 이재민 3193명이 발생했다.
이들 이재민 중 2462명은 임시숙박시설로 거처를 옮겼다.
영남권 산불은 사상 최악의 재산 피해도 남겼다.
경북도에 따르면 2일 기준 5개 시·군 피해조사액은 8000억원 정도이다.
하지만 중대본 잠정집계상 4만5157㏊에 달하는 산불영향구역 피해조사율은 30%에 못 미친다.
주택 부문에서 발생한 8만4400t의 산불 폐기물 처리비용만 최소 15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약 70% 조사가 진행된 주택·농작물·가축 피해 규모도 점차 늘고 있어 이번 영남권 산불 피해 규모는 경북지역 1조여원 등 2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정부는 의성 산불 당시 위험을 무릅쓰고 주민 대피를 도운 인도네시아인 3명에게 장기 거주 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
이 차장은 “이번 산불 때 대피에 어려움을 겪던 할머니 등을 도운 인도네시아 국적의 세 분에게 특별기여자 체류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며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이웃의 생명을 구한 분들에게도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한편, 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모인 국민 성금은 4일 오후 5시 기준 925억1000만원이었다.
안동=이영균 기자, 박진영 기자, 전국종합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