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760억원 규모의 ‘2025년도 경기도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가평군과 연천군을 중심으로 인구감소 대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경기도는 7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가평군과 연천군을 대상으로 생활인구 확대, 지역 일자리 창출, 거주환경 개선을 핵심으로 한 34개 세부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인구감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더 나은 기회의 경기’를 비전으로 삼고 있으며, 매년 수립되는 실행계획으로 5년 주기의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가평군은 미·영연방 관광안보공원 조성 사업을 통해, 연천군은 경원선 폐선부지 복합휴게공간 설치 등을 통해 관광 기반을 강화한다.
특히 가평군은 청평호, 명지산,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뮤직빌리지 등 천혜의 자연과 문화 콘텐츠를 활용해 생활인구 100만 명을 돌파한 바 있어 대표적 성공 사례로 꼽힌다.
지역 일자리 확대를 위한 계획도 주목된다.
경기도는 농업인 조직을 대상으로 생산·유통·가공·홍보 지원을 확대하며, 가평군은 청년 창업자의 사업화 및 임차료 지원을 추진한다.
연천군은 청년 주거 및 공유공간이 포함된 다목적 복합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연천군은 청년들에게 주거 및 공유공간을 제공하는 다목적 시설을 조성해 청년인구 유입과 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기회발전특구’ 지정 추진을 통해 경기북부 지역 기업 유치 및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거주환경 개선에도 힘쓴다.
경기도는 도로 연결망 정비, 농어촌도로 확·포장, 정수장 증설 등 인프라 확충에 나서며, 국공립 어린이집과 육아종합지원센터, 놀이시설 등 가족 친화 환경 조성을 조성할 계획이다.
더불어 농어촌보건소 장비 보강, 공원 환경 개선 등 주민 생활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업도 포함됐다.
성인재 경기도 균형발전담당관은 “인구감소지역은 낙후된 정주 여건과 부족한 생활 인프라로 주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어 왔으며, 일자리 문제로 인한 청년인구의 유출 등으로 어려움은 가중돼 왔다”며 “가평군이 접경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지역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듯이, 경기북부 지역에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비롯한 맞춤형 정책 추진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이번 계획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2026년에는 더 많은 재원이 투입될 수 있도록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특례 제도를 발굴·적용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인구감소 대응을 이어갈 방침이다.
의정부=이종구 기자 9155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