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조사당국이 정확한 사고 경위를 파악하는 데 1년 여 가량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 |
7일 대구 북구 서변동 산불 진화 헬기 추락 지점에서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와 경찰, 소방, 지자체 등이 합동 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대구=연합뉴스 |
사고조사위는 사고 지점 주변에 차단선을 설치하고 추락한 헬기를 비롯해 잔해물 분포도를 드론 등을 이용해 확인했다.
헬기에 남아 있는 연료와 오일을 채취하는 작업도 진행했다.
사고헬기 임대 업체는 헬기에 블랙박스 대신 설치돼 있던 '보조기억장치'가 소실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당 장치는 업체 측이 자체 설치한 것으로, 최대 1000도 이상의 고온에도 견디는 헬기용 블랙박스는 아닌 것으로 확인했다.
이에 따라 사고조사위는 보조기억장치의 복구 가능 여부도 자세한 조사를 거쳐야 확인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장 감식 후 사조위 관계자는 "사고 헬기가 노후한 구형이어서 보조 기억 장치가 설치돼 있는데 헬기 고도나 속도 등을 추적할 수 있는 장치"라면서 "법에 의해 블랙박스 대체 장비로 승인된 장비이며 SD카드를 찾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기령이 많은 항공기는 국가에서 엔진이나 성능을 규정에 따라 관리하고 인증·검사를 하고 있는 걸로 안다"며 "이 부분 등에 위배되는 점이 있었는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고조사위는 10일까지 현장 조사를 벌이고 엔진을 포함한 기체 전체를 김포공항에 있는 잔해 보관소에 유치한 뒤 조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앞서 조사위는 전날에도 현장을 목격한 주민들을 탐문하고, 인근 폐쇄회로(CC)TV를 확인하기도 했다.
국토부 측 관계자는 "사고 원인 규명까지는 1년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고 밝혔다.
대구=김덕용 기자 kimdy@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