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미얀마서 인명 구조에 투입된 이 벌레…센서 달고 잔해 사이 누빈다

싱가포르 매체, ‘사이보그 바퀴벌레’ 10마리 투입 보도

지난달 규모 7.7 강진으로 현재까지 35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미얀마에서 펼쳐진 인명 구조 작전에 ‘사이보그 바퀴벌레’ 10마리가 투입됐다고 싱가포르 매체 스트레이츠 타임즈가 지난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트레이츠 타임즈(Straits times) 페이스북 페이지 캡처

지난달 규모 7.7 강진으로 현재까지 35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미얀마에서 펼쳐진 인명 구조 작전에 ‘사이보그 바퀴벌레’ 10마리가 투입됐다.

싱가포르 매체 스트레이츠 타임즈는 지난달 31일과 이달 3일 두 차례에 걸쳐 지진 피해가 극심한 현장에서 사이보그 바퀴벌레가 수색 활동을 펼쳤다고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장에서 구조·재난 지원을 위한 ‘라이온 하트’ 작전을 펼치는 싱가포르 민방부대는 몸길이 8~10㎝가량의 마다가스카르휘파람바퀴(Madagascar hissing cockroach) 몸에 적외선 카메라와 센서를 장착했다.

몸에 부착된 전극으로 바퀴벌레의 신경을 자극해 원격으로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잔해 사이를 쉽게 드나드는 바퀴벌레의 몸에 달린 카메라와 센서로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는 설명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나 열 징후를 포착해 생명체를 감지한다고 한다.

아울러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처리되는 정보는 구조 당국의 생명체 존재 여부 판단과 구조 인력 배치에 큰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다.

일부는 ‘사이보그 바퀴벌레’라는 말에 바퀴벌레 형태의 로봇이 아니냐고 반응했지만, 실제 살아 움직이는 바퀴벌레를 활용한 작전이다.

성체 몸무게가 23g 정도인 이 벌레는 싱가포르 현지에서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많다고 전해졌다.

싱가포르 난양공대 연구팀은 수년 전부터 구조대의 활동이 어려운 재난 현장에서 이 바퀴벌레의 투입 방안을 연구해왔다.

이렇다 보니 구조 현장에서 바퀴벌레를 쓰는 것도 세계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고 스트레이츠 타임즈는 전했다.

매체는 아직 생존자를 찾지는 못했다면서도 사이보그 바퀴벌레가 구조대의 수색 작업에 큰 도움을 준다고 덧붙였다.

7일 AP통신에 따르면 미얀마 지진 발생 열흘째인 전날 오후 기준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3564명으로 늘었다.
부상자와 실종자 수는 각각 5012명과 210명이다.

외신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사망자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럩伊숋옙館嫄ュ뜝�뚮폇�좎룞�숋옙�⑹맶占쎌쥜��
HTML�좎럩伊숋옙恝�뽫뙴�쒕㎦占쎌쥜��
�낉옙�붺몭�겹럷占쎄퀣�뺧옙�⑥삕占쏙옙�앾옙��뮔�좎룞��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