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된 암세포의 성장을 차단하면서 심장질환 부작용도 낮추는 신물질이 개발돼 동물실험에서 그 효과가 확인됐다.
연세대 의대 외과학교실 박기청 교수와 강남세브란스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김석모 교수 연구팀은 7일 기존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전이암 환자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신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
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병원 제공 |
과거 전이암에서 SERCA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면 치료 효과가 올라간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새로운 약물 개발의 화두로 떠오른 적이 있으나, 심장 질환 부작용이 한계로 지적된 바 있다.
이에 연구팀은 SERCA 단백질의 아형에 따라 달리 접근하는 전략을 세웠다.
SERCA 단백질은 SERCA 1·2·3 세 가지 아형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SERCA 2는 심장 근육의 이완과 수축 기능을 담당한다.
기존에 개발된 SERCA 단백질 억제제는 아형 구분 없이 SERCA 단백질 자체를 억제하기 때문에 심장 질환 부작용을 피할 수 없었다.
연구팀은 SERCA 2는 제외하고 항암제 내성에 영향을 끼치는 SERCA 1만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신물질을 개발한 뒤 동물실험을 통해 기존 항암제와의 효과를 비교·분석했다.
![]() |
이번 연구에 사용된 유두상 갑상선암(PTC) 세포주 표본들. 해당 논문 |
심장 질환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김석모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전이암을 치료하는 것은 물론 심장 질환 부작용까지 잡을 수 있는 약제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영국 약학저널’(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에 게재됐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