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美 관세에 中 수출방향 틀면 경제 '이중 충격'"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에 대응해 미국에 수출하던 상품을 다른 국가로 분산시킬 경우 세계 경제가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이코노믹스 분석을 인용해 중국이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중 무역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잃게 될 수출 시장 대부분을 다른 곳으로 돌릴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이번 관세 전쟁 이전에도 전기차 등 고가 제품에서부터 저가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자국에서 과잉 공급되는 제품의 수출에 주력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무역 상대국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면서 각국이 대미 수출 감소를 우려하는 가운데, 중국의 제조업 확장이 글로벌 경제를 압박하면 각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블룸버그는 관측했다.
올해 생산액 규모가 115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세계 경제가 미·중 양국으로부터 충격을 받을 전망이라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시행되고 무역 상대국들이 상호 관세율의 절반 수준으로 보복에 나서는 상황을 가정한 블룸버그이코노믹스 모델링 결과, 미국의 상품 수입은 2030년까지 30% 줄고 중국의 대미 수출은 85%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국과 일본 등은 50% 이상, 유럽연합(EU)·인도 등은 40%, 영국·브라질은 15% 정도 대미 수출이 각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 외 대다수 국가의 중국산 수입은 5% 미만에서 늘어날 것으로 집계됐다.


이코노미스트인 리처드 볼드윈은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주최 행사에서 "'미국 쇼크'는 더 심각한 '중국 쇼크'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이에 따라 다른 주요국들이 대중국 관세를 올릴 것이다.
매우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앨버트 박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관세 정책과 중국의 대응에서 오는 경제적 충격이 합쳐져 중간에 낀 국가들은 부담을 받을 것이라면서 많은 국가가 "미국 관세 인상에 대응 중인 만큼 더 많은 중국산 수입을 흡수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싱가포르경영대 헨리 가오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즉각적인 충격을 줄 것이다.
그런데 사실은 중국 제조업의 확장이 더 심한 구조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다른 국가들도 미국처럼 반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