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상호관세가 9일(현지시간) 0시를 기점으로 발표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분간 '예외' 조치에 포함했던 의약품에도 곧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예고했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8일 공화당 하원 의원 기금모금 만찬에서 "우리는 조만간 의약품에 대해 대규모 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그렇게 하면 그들은 미국으로 다시 몰려올 것"이라며 "우리가 '큰 시장'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최대 이점은 바로 우리가 세계 최대 시장이라는 점"이라고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랫동안 미국 내 의약품 생산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며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해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섹션 232조항'을 활용할 것으로 관측되며 정식 조사는 개시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4일에도 "머지않아 의약품에 대해 발표할 것"이라며 "우리는 더 이상 의약품을 생산하지 않는다.
전쟁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철강과 의약품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통상 환자들의 필수 의약품 접근권을 보호하기 위해 의약품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이번엔 다를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글로벌 제약사들도 분주해졌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들은 "이번 관세가 환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연구개발(R&D) 투자를 위축시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PwC 분석에 따르면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분야에 부과되는 연간 관세는 현재 약 5억달러 수준에서 최대 630억달러까지 126배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보편 관세에 이어 품목별 관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앞서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해 업종별로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구리 관련 관세 조치도 준비 중이다.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에서 당분간 '예외'로 둔 업종은 의약품·목재·반도체 등이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