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레이건 이후 최악… 집에 물품 있어도 미리 구입” [美, 상호관세 발효]

美 마트 가보니
지난 주말 각지선 화장지 사재기
휴대전화 가격 인상 전 구매 몰려
가격대 높은 車도 불확실성 커져


“레이건 이후 최악이다.


중국 104%, 한국 25% 등 세계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 발효(현지시간 9일 0시)를 약 4시간 앞둔 8일 오후 미국 버지니아주 스프링필드 ‘월마트’에서 만난 사무엘은 현재 경제 상황을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상호관세 발효를 앞둔 8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스프링필드 월마트에서 사람들이 퇴근 후 물건을 담은 카트를 끌고 계산대 앞에 서 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기인 1981년 에티오피아에서 미국에 이민 와 시민권을 받고 40여년을 산 그는 그간의 미국살이에서 이처럼 빠른 시간에 물가가 오르는 것은 처음 본다며 “관세 부과 전에도 이미 올해 들어 물가가 많이 오른 게 체감된다”고 했다.
그는 특히 “필수재가 가장 먼저 오른다”며 자신의 카트에 담긴 10달러(약 1만4500원)짜리 1갤런(3.7ℓ) 식용유가 지난해 말만 해도 9달러였다고 설명했다.

사무엘은 “집에 있지만 혹시나 싶어” 화장지도 한 통 카트에 담았다.
물량이 달릴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미국 각지에선 지난 주말 화장지 사재기 바람이 불었다.
화장지의 원료 펄프가 대부분 캐나다산이기 때문이다.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적용 상품은 당분간 관세 부과가 유예되지만 관세 불안감이 소비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입품을 많이 취급하는 아시아 마트의 경우 관세의 직격탄을 맞게 된다.
메리필드의 중국계 마트인 ‘GW마트’에서 만난 중국계 미국인 주부 케이티는 “그간에도 중국 수입품보다는 한국, 일본으로부터 들어오는 아시아 식품을 먹고 있었는데 가격이 많이 오를 것”이라고 걱정했다.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계 여성들의 정보 공유 웹사이트에도 “관세가 부과되기 전에 물건을 미리 사둬야 하나”, “무슨 물건을 사둬야 할까” 등 관세 부과로 인한 장바구니 물가 상승 우려를 나누는 글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이날 공산품과 식품류를 함께 취급하는 마트 ‘타깃’ 메리필드점을 둘러보니 의류, 가정 소품 등 각종 공산품은 대부분이 중국산, 인도산, 베트남산 등이었다.
타깃 가정소품 코너에서 중국산 쿠션을 카트에 담던 제니퍼에게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10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한 것에 대한 의견을 묻자 “그간 중국에 너무 의존해 온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문제는 당분간 이어질 혼란을 얼마나 견딜 수 있느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너무 길지 않았으면 한다”고 토로했다.

장바구니 물가보다 더 큰 우려가 나오는 분야는 자동차, 전자제품 등 금액 규모가 큰 소비다.
관세 부과 6시간 전인 오후 6시 페어펙스의 통신사 AT&T 매장을 찾았다.
매장 문을 닫을 시간이 됐지만 계속 손님들이 들어왔다.
사장인 제임스는 “날이 바뀌면 관세 부과로 휴대전화 가격이 인상될 것을 우려한 손님들이 종일 줄을 이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도 소비자들의 우려가 모이는 품목이다.
비엔나에 거주하는 교직원 클라라는 “차값이 오른다고 해서 미리 사려고 알아보기도 했지만 지금은 여러 소비가 커서 일단은 참아보기로 했다”며 “불확실성이 너무 큰 시대”라고 말했다.

이날 만난 사람들이 우려하는 것은 대부분 당장의 소비재 가격 상승을 넘어선 장기 인플레이션이었다.
월마트에서 만난 아르날도는 “트럼프를 뽑은 저소득층은 인플레이션 때문에 트럼프를 뽑았다.
하지만 지금 인플레이션은 더 커질 위기”라며 “그들은 트럼프를 지지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말했다.
버지니아=글·사진 홍주형 특파원 jhh@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쎌쥙�ν걫占쎌뼔占쏙옙�용쐻�좑옙
HTML占쎌쥙�ο㎖猷잜맪�좑옙
雅�퍔瑗띰㎖�곗삕�⑨옙��뜝�뚯뒠占쏙옙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