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초를 산나물로 혼동해 섭취, 장염 등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지속해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0일 국립수목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독초 등을 섭취해 복통 증상을 호소한 사례는 총 41건(한국소비자원 소비자 위해 감시시스템 접수 건수)이며, 이중 33건(80%)은 3~6월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받은 사례 대부분은 산나물과 생김새가 비슷한 독초를 개인이 임의로 채취·섭취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꽃이 피기 전에 식물의 잎 또는 뿌리만으로 산나물과 독초를 구별하기 어려운 까닭이다.

봄철 대표적인 독초는 미국자리공, 삿갓나물, 동의나물, 은방울꽃, 털머위 등이 꼽힌다.
미국자리공은 더덕과 닮은꼴로 혼동하기 쉽다.
구별점은 더덕은 뿌리가 가로로 주름져 있지만, 미국자리공의 뿌리는 주름지지 않고 매끈하며 굵은 뿌리에서 자주색 줄기가 나온다는 것이다.
또 미국자리공은 향기가 없다.
삿갓나물은 우산나물과 유사한 식물이다.
우산나물은 잎의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며, 잎이 깊게 2열로 갈라지는 형상을 보인다.
반면 삿갓나물은 줄기 끝에 잎의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아 구별된다.
동의나물은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곰취와 오인·혼동되기 쉽다.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 가장자리가 둔한 톱니 형태를 보인다.
이와 달리 곰취는 향이 있고, 잎에 광택이 없으며 날카로운 톱니 형태를 보이는 게 특징이다.
이들 식물처럼 겉보기에 유사한 독초에 관한 충분한 지식 없이 야생식물을 개인이 임의로 채취해 섭취한다면 장염 등 피해를 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게 국립수목원의 설명이다.
만약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섭취한 후 복통, 구토 등 이상증세를 겪는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또 독초를 병원에 가져가는 게 신속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독성 식물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국립수목원 홈페이지에 게시된 연구 간행물(봄·가을 독성식물 가이드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국립수목원 관계자는 "산나물과 독초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은 만큼, 독초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선 야생식물을 채취해 섭취하는 것을 삼가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식용 가능한 산나물도 올바른 조리 방법을 확인한 후 섭취할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