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앤디 재시 최고경영자(CEO)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로 아마존 플랫폼 내 판매자가 "비용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재시 CEO는 10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소비자와 고객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살펴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재시 CEO는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소비자 행동에서 특별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고 있으며 아직 행동 변화가 나타나기에는 이르다"고 했다.
이어 "일부 제품에 대해서는 사전 구매 현상이 보이기도 했지만, 아직 며칠밖에 지나지 않아 단순한 데이터의 일시적 특이 현상인지, 지속될 현상인지 판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교역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으나 기본관세 10%와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에 재시 CEO는 관세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제품은) 선제적으로 재고를 확보했다"며 "우리는 제품 가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재시 CEO는 "일부 온라인 판매자들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다"며 상품 가격 인상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정부에 (관세 정책으로 인한) 우려 사항을 전달했으며 당국도 이를 인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마존의 제3자 마켓플레이스에서 전체 상품의 약 60%를 판매하는 셀러 상당수는 중국에 기반해 상품을 조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에 맞서 대미 보복 조치를 선언한 중국에 상호관세율을 125%로 올린 상황이다.
기존 중국에 부과했던 20%를 더하면 대중 추가 관세율은 총 145%에 달한다.
아울러 다음 달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서 오는 800달러 이하의 소액 소포에 대해서도 120%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물건을 판매하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테무·쉬인 등의 배송이 중단될 위험이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