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인에게 우크라이나 전쟁에 러시아 용병으로 입대하라는 광고가 온라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쟁에 참가한 중국인들이 실상 열악한 처우에 고생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11일(현지시간) "러시아를 위해 싸우는 중국인 병사들이 러시아의 프로파간다를 믿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다"면서 이들이 인종차별과 임금 체불 등을 호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다른 용병들과 마찬가지로 중국인 병사들도 위험한 공격 부대의 최전선에 배치되곤 한다"고 전했다.
쿠르스크에 파병된 북한군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이른바 '총알받이'로 소모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 매체는 "러시아는 슬라브인 정규 부대를 최전선에 보내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생존 가능성이 낮은 전방 전투를 수행할 용병을 고용하는 데 돈을 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많은 중국인 신병이 용병 기업 바그너그룹의 '스톰-Z' 부대에 배치됐으며, 첫 번째 임무부터 전사하는 사례도 있다고 덧붙였다.
스톰-Z는 죄수들을 모집해 만든 부대다.
러시아인들의 반발을 최소화하려는 정치적 목적에 따라 위험한 임무에 투입돼 사상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공개된 한 다큐멘터리에서는 한 중국인 병사가 "훈련소 때부터 흑인과 아랍인, 중국인에 대한 심각한 인종 차별이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중국인들은 오랫동안 전쟁을 겪지 않아 전쟁의 실상을 모른다"라고도 말했다.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러시아 당국이 전사한 중국인 병사의 가족에게 40만위안(약 7800만원)을 지급해야 하지만 체불이 잦다고 보도했다.
또한 러시아군이 "전쟁에 승리해야만 계약이 만료된다"며 계약이 만료된 중국인 병사들의 전역을 거부해, 일부는 목숨을 걸고 탈영하는 사례도 있다고 중국인 병사들이 증언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중국인 중 최초로 우크라이나 드론에 희생된 것으로 알려진 자오루이라는 이름의 충칭 출신 용병은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와서 좋을 게 아무것도 없으니 오지 말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