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통제 카드 쓰는 中 압박 분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심해 바닥에 있는 광물 자원인 망간 등 다금속단괴(polymetallic nodule)를 국가전략물자로 비축하도록 하는 행정명령 초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대중 압박 일환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 |
사진=로이터연합뉴스 |
다금속단괴는 바닷물에 녹아 있던 금속 성분들이 깊은 심해저에서 수백만년 고압을 받아 둥근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흑갈색 광물이다.
이 단괴에는 주성분인 망간 이외에도 철, 니켈, 구리, 코발트 등 경제적 가치가 높은 배터리 소재와 희토류 금속 등이 포함돼 있다.
전 세계 심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며, 전 세계적으로 5000억t이 존재할 것으로 추산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다금속단괴 비축 행정명령을 추진하는 것은 심해저 광물 채굴권 확보와 정련시설 마련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FT는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예산안 심의 때부터 태평양 심해 단괴를 국방 분야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해왔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대통령 부보좌관 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국장을 지낸 아시아 문제 전문가 알렉산더 그레이는 해저 광물 채취가 미국과 중국의 경제적·군사적 경쟁에서 전선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FT에 밝혔다.
그는 “중국의 야심으로 가장 큰 위협을 받을 수 있는 분야에 미국 정부가 초점을 맞추는 것은 필수적”이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조선업과 중요 광물 확보에 관심을 집중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