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조 부시장에 대해 불법 정치자금 혐의 외에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의 개입 의혹을 받는 창원 국가산업단지 지정과 관련해 관여 정도 등 연관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에 따라 명태균 게이트 수사로 지지부진했던 조 부시장에 대한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 |
창원시청 전경. 창원시 제공 |
14일 세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창원지검 형사4부는 명씨의 창원 국가산단 개입 의혹과 관련해 조 부시장과의 연관성을 본격 수사하고 있다.
명태균 게이트 수사 중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등은 서울중앙지검에서, 명씨의 창원 국가산단 개입 의혹 등은 창원지검에서 수사 중이다.
국가산단과 관련해 창원시 미래전략산업국이 총괄하지만, 그린벨트 해제 등 실질적인 업무는 도시정책국 내 도시계획과가 맡고 있다.
미래전략산업국은 창원시 1부시장 소관 부서이지만, 도시정책국은 2부시장 소관 부서이다.
당시 이 업무의 총괄을 1부시장이 할지, 2부시장이 할지 논의가 있었는데 2부시장이 맡기로 결정됐다.
검찰은 창원시가 국가산단 지정을 추진하면서 조 부시장이 담당 공무원들과 함께 명씨를 수시로 만나 논의한 정황을 포착했다.
조 부시장이 사실상 실질적 결정권자로, 창원 국가산단 지정의 행정 업무에 깊숙하게 관여했을 것이라는 게 창원시 안팎의 중론이다.
검찰이 이 사건에서 조 부시장을 정조준하는 배경이다.
검찰은 조 부시장에 대해 △공무상 비밀누설 △이해충돌 방지법 위반 △직권남용 등 혐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부시장이 공직에서 얻은 정보를 누설해 이를 활용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지방검찰청 전경. 연합뉴스 |
조 부시장은 이 사건 말고도 홍남표 전 창원시장의 인수위 시절 선거 캠프 관계자로부터 수천만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조 부시장은 모든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지역 정가에서는 조 부시장의 기소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다.
현재 창원시장은 공석이다.
홍 전 시장이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으로 대법원 유죄 확정 판결을 받으면서다.
이에 홍 전 시장이 정무직으로 임명한 조 부시장도 사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조 부시장은 2022년 8월 임용돼 2024년 7월 2년 임기가 끝났다.
이후 임기가 1년 더 연장됐다.
이번 임기는 7월 말까지다.
조 부시장은 남은 임기를 끝까지 채우겠다는 입장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검찰의 기소 여부 판단 시기가 창원시정에 적잖은 파장과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창원시 한 관계자는 “100만 인구 창원시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창원시정에 계속 남아 있는 것이 옳은 것인지, 스스로 용기 있는 행동이 필요하지 않을까 깊이 고민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창원=강승우 기자 ksw@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