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과 수시 회동 정황… 市 윗선 겨냥
檢, 직권 남용 등 혐의 적용 검토
검찰이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의 경남 창원 국가산단 개입 의혹에 대해 본격 수사할 전망이다.
14일 지역 법조계 등에 따르면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 사건 중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등은 서울중앙지검에서, 명씨의 창원 국가산단 개입 의혹 등은 창원지검 형사4부가 맡아 수사 중이다.
![]() |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가 2024년 11월 8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지방검찰청(창원지검)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후 명씨의 창원 국가산단 개입 의혹 부분은 창원지검이 맡기로 하면서 변곡점을 맞았다.
이에 창원지검은 이 사건과 관련해 조명래 창원시 2부시장과의 관여 정도 등 연관성을 집중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창원시가 국가산단 지정을 추진하면서 조 부시장이 담당 공무원들과 함께 명씨를 수시로 만나 논의한 정황을 포착했다.
조 부시장이 사실상 실질적 결정권자로, 창원 국가산단 지정의 행정 업무에 깊숙하게 관여했을 것이라는 게 창원시 안팎의 중론이다.
검찰이 이 사건에서 조 부시장을 겨냥하는 배경이다.
검찰은 조 부시장에 대해 △공무상 비밀누설 △이해충돌 방지법 위반 △직권남용 등 혐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조만간 조 부시장을 불러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수사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검찰 조사 과정에서 명씨는 창원 국가산단 관련 땅을 산 정치인으로 박완수 경남지사와 김종양(창원 의창) 국민의힘 국회의원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 모두 땅 매입 자체를 강하게 부정하고 있다.
검찰이 본격적으로 수사에 나서기로 해 명씨 진술의 진위가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또 명씨가 김건희 여사 보고용 문건에 “새로운 부국강병시대를 열 것”이라며 창원 국가산단 지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에게 이 문건이 전달된 것으로 알려져 김 여사가 산단 지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검찰 수사에서 밝혀야 할 대목이다.
창원=강승우 기자 ksw@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