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급 낮다며 거절… 대화 의지 없어”
시진핑, 베트남에 관세 공동대응 촉구
내수 충격 완화 위해 소비 진작 총력
미·중 무역전쟁이 전방위 확산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중국이 대화를 시도했지만 미국이 거부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베트남과의 정상회담에서 “일방적 괴롭힘에 함께 맞서야 한다”며 외교전에 나섰다.
홍콩 성도일보는 14일 중국이 관세 갈등이 본격화되기 전 추이톈카이(崔天凱) 전 주미 중국대사를 비공식 특사로 미국에 파견해 대화 가능성을 타진했지만 미국 측이 이를 거절했다고 보도했다.
표면상 이유는 추이 전 대사의 ‘급이 낮다’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근본적으로 대화 의지가 없었다고 매체는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값비싼 협상조건을 내세우며 오히려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이자 중국 서열 5위인 차이치(蔡奇)의 방미를 거론했다며 “극한 압박을 위한 명분 쌓기”라고 비판했다.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매체는 “트럼프 관세 전쟁의 본심은 관세에 있지 않다”며 “궁극적 목표는 미국의 유일무이한 경쟁 우위를 확정하고 중국의 산업 업그레이드 기회를 철저히 죽여 영원히 미국의 ‘저가 공장’이 되게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지도부 역시 주변국과의 공조를 강화하며 외교전을 병행하고 있다.
시 주석은 이날 베트남 하노이에서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중국과 베트남은 경제 세계화의 수혜자로서, 일방적 괴롭힘 행위에 함께 반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를 ‘일방적 괴롭힘’으로 규정하며 반미 전선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 |
베트남 찾은 시진핑… 對美 관세대응 우군 확보 도모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이 14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의 당 중앙위원회 청사에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겸 베트남 국가주석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시 주석은 관세를 무기로 각국을 압박하고 있는 미국을 겨냥해 “일방적 괴롭힘 행위에 함께 반대해야 한다”며 베트남과의 협력을 모색했다. 하노이=신화통신연합뉴스 |
양국은 총 45건의 협력 문건을 체결했으며, 베트남은 특히 북부 국경도시 라오까이에서 하노이, 하이퐁을 잇는 대형 철도 건설 프로젝트에 중국의 참여를 요청했다.
한편 중국은 미국의 관세 인상에 따른 내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소비 진작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이난성과 쓰촨성은 가전·자동차 등 고가 소비재 구매에 저리 대출을 제공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소비 확대를 위한 전국적 캠페인을 전개 중이다.
상무부는 수출기업의 내수 전환을 유도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5.2% 성장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2분기 이후부터는 관세 충격이 본격 반영되면서 성장세가 빠르게 둔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모건스탠리는 “양국 간 단기 협상 가능성이 낮은 상황에서 2분기부터 급격한 둔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lol@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