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 경험 많을수록 자존감도 떨어져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아이의 언어·문제해결 능력은 물론 향후 학업 수행에도 긍정적 영향을 못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히려 과도한 사교육은 아이들의 놀이와 휴식 시간을 빼앗아 전인적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15일 교육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영유아 사교육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에서 이러한 내용의 실증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
![]() |
서울 강남구 한 영어유치원. 연합뉴스 |
문제해결 능력과도 별 상관성이 없었다.
다만 예술 사교육에 참여한 아동은 예방책 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사교육 경험은 성실성, 자존감, 개방성, 타인 이해 등 정서·행동 특성과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학습 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많을수록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유아기 사교육은 초등학교 진학 시 학업 수행 능력에도 별 효과를 내지 못했다.
자아 존중감이나 삶의 만족도와 관련해서도 유의미한 영향은 없었고, 오히려 일부 부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 |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아이의 언어·문제해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못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
김 선임연구위원은 "과도한 사교육은 놀이와 휴식 시간을 감소시켜 오히려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양육·교육 방법 등에 관해 전문적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송출 등으로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