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향후 진행할 무역 상대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관세율을 낮춰주는 대가로 중국과 거래를 끊도록 압박해 중국 경제를 고립시키겠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한 소식통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지난 6일 마러라고에서 열린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무역 상대국을 압박해 중국이 미국의 관세 장벽을 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미국이 무역 협상 상대국에 관세 장벽을 낮춰주는 대신 중국이 해당 국가를 거쳐 상품을 운송하는 것을 막거나, 중국 기업이 '관세 폭탄'을 우회하기 위해 해당 국가에 회사를 설립하지 못하게 요청한다는 것이다.
WSJ는 "중국 경제와 각국이 연관된 정도에 따라 미국이 요구하는 구체적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며 "이러한 미국의 조치는 이미 불안정한 중국 경제에 타격을 줘 중국이 협상 테이블에 나오도록 압박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했다.
다만 미국과 초기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일부 국가는 중국 관련 요구를 받지 못했다고 언급한 만큼 모든 국가에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조건이 제안될지는 불분명하다고 WSJ는 덧붙였다.
중국은 이 같은 미국의 압박에도 베트남과 수십 건의 협약을 체결하는 등 독자적인 무역 외교를 펼치는 모습이다.
피터 해럴 전 백악관 국제경제 담당 선임 국장은 이날 조지타운대 로스쿨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략을 오히려 기회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해럴 전 국장은 "경제적 측면에서는 중국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지만, 정치적 측면에서는 꽤 능숙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