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 보다 더 해요. 요즘은 채용 공고 자체가 없다니까요."
최근 구직자가 체감하는 '채용 가뭄'이 코로나19 팬데믹 초기보다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란·탄핵정국에 따른 내수 부진과 고물가 장기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부과까지 나라 안팎의 경제 여건이 악화하면서 청년층이 고용 한파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통계청이 제공하는 '빅데이터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지난달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 수는 4주 이동 평균 기준으로 2020년 1월 대비 57.9% 감소했다.
이는 5년 전보다 절반 이상 급감한 것으로 통계청이 해당 지표를 제공하기 시작한 2020년 이후 역대 최악에 가까운 수치다.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빠르게 감소해 2020년 5월 초 대유행 직전보다 25%가량 줄었고 이후 거리두기 규제와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등에 따라 증감을 반복했다.
그러다 지난해 9월을 기점으로 채용 모집 인원은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 10월에는 2020년 1월 대비 약 40% 감소했다.
이후 연말~연초에도 감소세를 이어가 2월 초에는 4주 이동 평균 69.7% 줄어 역대 최고 감소율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행히 3월부터 본격적인 채용 시즌이 시작되며 감소율은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코로나 시기를 뛰어넘는 채용 가뭄이 이어지고 있다.
업종별로는 사업 지원 서비스업에서 채용 감소가 가장 두드러졌다.
지난달 29일 기준 해당 업종 채용 모집 인원은 2020년 1월 대비 89.4%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서비스(-49.8%), 식료품 및 의류(-35.3%), 오락 스포츠 및 문화(-32.5%)도 채용 모집 인원이 크게 줄면서 고용 한파가 전방위적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심지어 채용 수요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돼 왔던 제조업에서도 모집 인원이 2020년 1월 대비 20.3% 줄어 구직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됐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25년 3월 고용동향'에서도 청년 채용 한파를 확인할 수 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4.5%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포인트 떨어졌다.
3월 기준으로는 2021년(43.3%) 이후 4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15~29세 실업률 역시 7.5%로 전년 동월 대비 1.0%포인트 상승했다.
이 또한 3월 기준으로 2021년(10.0%)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채용 위축이 경력이 짧은 청년 구직자들에게 더욱 큰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우려한다.
경기 부진 속 기업들이 경력직 채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신입 정기공채가 줄고 경력직 수시 채용이 증가하다 보니 아예 구직 활동을 포기하는 '쉬었음' 청년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