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자 10명 중 1명이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미혼인 상태가 신혼집 마련에 유리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결혼정보회사 <em class="news_emphasis">가연은 25~39세 기혼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 결혼 인식 조사' 중 '혼인신고'에 관한 내용을 17일 공개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500명 중 혼인신고를 한 사람은 91.2%로 대다수다.
시점은 살펴보면 '결혼식을 올린 후~1년 이내'가 47.4%로 가장 많았고,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29.8%)', '결혼식을 올린 후~2년 이내(7.2%)', '결혼식을 올린 후~3년 이내(3.6%)', '식을 올린 후 3년 이상 지난 후(3.2%)'로 순으로 나타났다.
아직 하지 않은 사람은 8.8%에 불과했다.
혼인 신고를 한 이유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37.1%가 '결혼을 하면 당연한 절차라 생각해서'라고 답했다.
이어 '신혼집을 마련할 때 혜택을 받기 위해서(32.5%)', '배우자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어서(20%)', '추후 자녀 교육을 위해서(6.8%)', '기타(3.7%)' 순이다.
기타 응답은 자녀 출산, 회사 복지 혜택 등이 있다.

반면 아직 혼인 신고를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질문에서는 '미혼인 상태가 신혼집 마련에 유리해서'라는 답변이 56.8%로 가장 많았다.
이어 '특별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8.2%)', '결혼해도 필수 절차는 아니라 생각해서(15.9%)', '기타(6.8%)', '아직 배우자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강하지 않아서(2.3%)' 순이다.
설문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응답 차이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다만 혼인신고 시기에 관한 응답 중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을 택한 30대가 23.4%, 20대는 42.8%로 더 높았다.
30대보다 상대적으로 경제적 기반이 약한 20대 예비부부들은 집 마련을 위한 신혼부부 혜택이 더 필요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조은하 가연 커플매니저는 혼인신고를 미룬 부부의 대다수가 신혼집 마련을 1순위로 꼽은 것을 보면 미혼이 청약에 더 유리하다는 인식이 강한 것 같다고 해석했다.
이어 "신혼부부 특별공급이나 세액공제, 청약 기회 확대 등 기혼자를 위한 혜택이 늘어나고, 결혼 페널티를 점점 줄이는 정책이 집중되고 있으니 참고해서 계획을 세우면 좋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