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 협상의 가늠자가 될 미·일 관세 협상에서 환율 문제는 4월 하순에 논의될 전망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8일 보도했다.
닛케이는 가토 가쓰노부 재무상이 국제통화기금(IMF) 및 세계은행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달 하순 미국을 방문하는 데 맞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회담하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며 이처럼 전했다.
이와 관련 가토 재무상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일 재무장관 회담 계획과 관련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만 말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앞서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진행된 미일 관세 협상에서 환율 문제는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측 협상 담당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첫 관세 협상 후 의제를 확인하는 기자들 질문에 "환율(의제)은 나오지 않았다.
환율은 양국 재무장관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부터 일본이 엔화 약세를 유도한다며 불만을 언급해왔으며 베선트 재무부 장관도 비관세 장벽과 함께 환율 문제를 협상에서 거론할 의사를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일에도 "일본 엔화든 중국 위안화든 그들이 통화 가치를 낮추면 우리에게 매우 불공평한 불이익이 초래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달러의 기축통화 지휘를 유지하면서 현재의 달러 강세를 완화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강달러는 무역적자를 부르는 필연적 요인이다.
닛케이는 "베선트의 목표는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하면서도 강달러를 수정하는 좁은 길을 찾는 것"이라고 짚은 바 있다.
베선트 장관은 "두 가지는 모순되지 않는다"며 "1980~90년대에 그랬던 것처럼 국제 통화 간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예컨대 그는 1985년 '플라자 합의'처럼 중앙은행이 참여한 거시경제정책 공조를 염두에 두고 있다.
당시 미국은 무역과 재정 등 '쌍둥이 적자' 해결을 위해 일본, 영국, 프랑스, 서독 등과 달러화 약세에 합의한 바 있다.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전직 헤지펀드 매니저이자 재무부 경제학자 출신의 스티븐 미란은 더 급진적인 구상을 품고 있다.
그는 각국이 미 국채를 매각해 달러 약세를 유동하는 등 더 급진적인 계획을 갖고 있다.
다만 이런 국제공조는 중국과 유럽연합(EU)의 협력 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
이 과정에서 '관세 카드'를 국제공조를 끌어내기 위한 지렛대로 활용할 것이란 추정이 가능하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