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산불영향구역으로 추산한 4만8000㏊의 두배를 넘는 규모이다.
산림청은 18일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산림청은 애초 산불영향구역을 4만5157㏊로 발표했다.
![]() |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오른쪽)이 18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기지간담회를 열고 영남권 산불 피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
박은식 삼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대형산불 피해면적이 산불 진화 직후 발표한 산불영향구역과 큰 차이를 보인 것은 강풍으로 불이 빠르게 지나가면서 꺼진 지역의 화선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 국장은 이어 “이후에도 심한 연무 등으로 화선 파악이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산불영향구역은 산불진화 전략 수립을 위해 헬기와 드론 영상, 지상관측 등에서 파악한 화선 경계를 표시한 구역이다.
산불피해면적은 산불 피해복구를 목적으로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산불피해가 발생한 산림 면적이다.
그러나 앞서 산림청이 발표한 영남권 산불영향구역(약 4만8000㏊)과 실제 피해면적이 두 배 이상 차이나면서 추정 방식에 문제가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박 국장은 “산불영향구역은 현장 조사를 통해 파악된 산불피해 면적과는 활용 목적과 산정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며 “이번 산불의 경우 극한기상으로 인한 태풍급 강풍으로 불이 빠르게 지나가서 산불이 꺼진 지역은 화선이 존재하지 않아 산불영향구역으로 포함되지 않았으며, 강풍·연무 등으로 화선 관측 장비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했다.
![]() |
산불 발생에 따른 진화·피해조사·복구 추진 절차도. 산림청 제공 |
최종 피해 면적은 추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확정한다.
산불 피해조사는 지방자치단체가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8일까지 1차로 했고,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이 2차로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지자체와 함께 진행했다.
산림청은 영남권 산불 이후 산사태와 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2차 피해 우려지역 4207곳에 대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긴급 진단을 마쳤다.
조사된 지역에 대해선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응급복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림청은 피해 정도에 따라 자연복원, 생태복원, 조림복원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해 생태적 건강성을 회복하고 임업인의 소득 기반을 재건할 계획이다.
산불피해지의 체계적·합리적 복구를 위해 피해 주민과 산주는 물론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중앙·지역 단위의 ‘산불피해지 복원추진 협의회’을 구성 운영한다.
산불피해지 복구·복원 기본계획도 수립, 추진한다.
박 국장은 “이번 산불의 규모가 큰 만큼 피해지의 응급 복구가 시급한 실정”이라며 “안전·환경·생태뿐 아니라 지역경제 회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과학적 의사결정으로 산주와 임업인, 지역주민이 조속히 피해 회복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