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 측 관세 협상 대표에게 '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모자를 씌운 장면을 두고 사실상 '충성'을 강요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외교적으로 부적절하다는 지적과 함께 일본 내에서도 굴욕적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지난 19일 백악관은 소식지를 통해 지난 16일 일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MAGA 모자를 쓰고 환하게 웃으며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고 있는 사진을 배포했다.

당시 예고에 없이 직접 미·일 관세 협상에 참석하겠다고 선언하며 백악관 집무실로 아카자와를 불러 면담한 트럼프는 현장에서 MAGA 모자에 친필 사인을 해준 뒤 아카자와에게 모자를 건넸다.
트럼프의 상징이자 정치적 아이콘인 MAGA 모자가 미국과 무역 협상 중인 상대국 대표의 머리에 올라간 순간이었다.
백악관은 협상 이후 이 장면을 포함한 사진을 언론에 제공한 뒤 이날 또다시 미·일 협상의 공식 사진이라며 뉴스레터 형식으로 대외에 공개했다.
그간 미언론들은 MAGA 모자가 미국 내외에서 매우 강한 정치적 상징으로 여긴다는 점에서, 트럼프가 이를 정치·외교 무대에서 활용하는 점을 비판해 왔다.
사실상 트럼프가 시각적인 충성 서약을 강요하는 것으로, 이 모자를 쓰는 행위 자체가 트럼프에 대한 동조나 충성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 취임 이후 트럼프는 각종 행사에서 지지자들에게 MAGA 모자를 던지며 이를 자신에 대한 일종의 '충성 상징'으로 활용해 왔다.

정치 전문지 폴리티코는 트럼프가 집권 1기 때도 미군 고위 장성에게 MAGA 모자를 씌웠다는 점을 상기하며 "정치적 중립성이 요구되는 위치에서 MAGA 모자를 쓰는 것은 규정 위반 논란을 불러온다"고 비판했다.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 또한 "'트럼프 주의'에 동조하는 이들은 결국 이 모자를 통해 입장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일본에서도 MAGA 모자를 쓴 채 '엄지척'을 하는 아카자와를 놓고 "마치 트럼프교 신자 같다" "앞으로 그를 부를 때 아카자와가 아니라 '마가자와(MAGA와 아카자와 이름의 합성어)로 불러야 할 듯" 같은 반응이 나오며 굴욕적인 사진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일본 대중지 닛칸겐다이는 "트럼프의 구호가 적힌 모자를 쓰고 기뻐하는 모습은 일본 정부가 'MAGA 실현'에 힘쓰겠다고 선언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했다.
반면 일각서는 문제 될 게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각료 협의에서도 MAGA 모자를 쓰고 교섭했다면 문제겠지만 결정권을 가진 트럼프와 간격을 좁히기 위한 아카자와 경제상의 액션은 당연하다는 반응이다.
한편, 일본 정부는 이르면 이달 중 열릴 미국과 2차 관세 협상을 앞두고 미국산 쌀 수입 확대, 자동차 검사 간소화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0일 보도했다.
다만 이시바 총리는 이날 NHK 방송에서 "미일 양 정부의 관세교섭에 있어 '식량 안보'는 양보할 수 없다"고 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