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체육회도 기준 충족 못해
반응형 웹도입도 저조… 개선 시급
道 “2026년까지 53개 사이트 인증”
전북도청이 운영하는 행정·공공 웹사이트 대부분이 장애인과 고령자 등 정보 약자를 위한 ‘웹 접근성’ 기준을 제대로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세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전북도청 산하 본청 20개 실국과 18개 직속·위탁기관, 54개 출자·출연기관, 6개 사업소 등 총 104개 웹사이트 중 웹 접근성 품질마크를 인증받은 곳은 10곳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반응형 웹이 적용된 사이트는 86곳이었으며, 나머지 17곳은 미적용 상태였다.
![]() |
전북도청과 의회 모습. 전북도청 제공 |
반응형 웹은 PC, 스마트폰 등 사용자의 기기 화면 크기에 따라 최적화되는 웹사이트 디자인을 말한다.
2023년 12월 기준 전북 도내 등록 장애인은 13만189명으로 전체 인구(179만명) 대비 7.4%, 65세 이상 노령 인구는 42만3128명(24.1%)에 달해 정보 약자를 위한 접근성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지적돼 왔다.
전북도의회 장연국 의원은 앞서 지난해 9월 열린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런 문제를 공식 제기했지만,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장 의원은 “전북도와 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수십 개 웹사이트 가운데 극히 일부만 웹 접근성 인증을 받았으며, 반응형 웹 도입 역시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특히 장애인을 위한 전북도장애인체육회 홈페이지조차 웹접근성 인증을 받지 못한 사실도 언급했다.
그는 “웹 접근성 미인증과 비반응형 웹 운영은 정보 약자에 대한 이해와 존중 부족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며 “정보 접근권은 기본권으로, 공공기관은 이를 보장할 의무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는 웹 접근성 인증 확대와 반응형 웹 구축을 위한 개선책을 마련해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도는 내년까지 53개 웹사이트에 대해 웹 접근성을 인증받고, 10개 사이트에 대해서는 반응형 웹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올해는 1억4490만원의 예산을 들여 16개 사이트의 인증을 추진하고, 내년에는 2억6430만원 이상을 투입해 37개 사이트 인증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앞으로 새로 구축되는 모든 웹사이트는 웹 접근성과 반응형 웹을 의무화할 방침”이라며 “지방공기업과 출연기관이 복수의 웹사이트를 운영할 경우 통폐합을 적극 추진해 예산을 절감하고 관리 효율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