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 여성 평균 임금이 처음으로 남성의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성의 근속연수에 따른 연봉은 여전히 남성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22일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500대 기업의 남녀 직원 평균 연봉 및 근속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24년 기준 여성 평균 연봉은 7405만원으로 남성(1억561만원)의 70.1%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의 68.6%에서 1.5%포인트 높아진 수치로, 2년 전의 66.9%와 비교해도 높아지며 임금 격차가 줄었다.
하지만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보면 성별 격차는 여전히 크다.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9.2년으로 남성 11.9년의 77.3%지만, 연봉은 이보다 낮은 70.1%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상사, 증권, 보험, 운송, 은행 등 분야에서 격차가 선명했다.
상사업의 경우 여성 평균 근속연수는 11.3년으로 남성(10.1년)보다 길었지만, 평균 연봉은 7000만원으로 남성(1억1510만원)의 60.8%에 불과했다.
증권업도 여성의 근속연수가 10.8년으로 남성(10.3년)을 앞섰지만, 연봉은 남성(1억5200만원)의 65%인 9900만원이었다.
보험업은 남녀 근속연수가 각각 13년과 13.1년으로 비슷했다.
그러나 여성의 연봉은 8800만원으로 남성(1억3100만원)의 67.5%였다.
운송업은 여성의 근속연수(9.5년)가 남성(10.2년)의 92.6% 수준이지만 연봉은 6400만원으로 남성(9700만원)의 66.2%에 그쳤다.
은행업도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 15.4년, 여성 14.5년으로 큰 차이가 없으나 연봉은 남성이 1억2800만원으로 여성(9700만원)보다 24.5% 많았다.
리더스인덱스는 "조직 내 지위와 보상 체계에서 성별 불균형이 여전하다"며 "급여 측면은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기회와 지위에서는 남성이 우위를 차지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