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복귀 관련 애로사항 청취
의대협 등 ‘강경’ 단체는 불참
“복귀 가속” “제자리” 전망 분분
![]() |
지난해 의대 정원 확대 발표 후 이 부총리가 의대생들과 공식적으로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이번에 만난 의대생들은 수업 거부를 이끄는 ‘강경파’는 아니어서 의대생들이 얼마나 마음을 움직일지 전체의 동향을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 부총리는 이날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대한의료정책학교 주최 간담회에 참석해 의대생 10여명과 만났다.
대한의료정책학교는 사직 전공의 등 젊은 의사 10여명이 의료 정책 대안을 내려고 만든 조직으로, 최안나 전 대한의사협회(의협) 대변인이 교장을 맡고 있다.
의료계에선 ‘온건파’로 분류된다.
이번 만남은 대한의료정책학교에서 제안해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총리는 의대생들에게 의학교육 정상화 방안과 24·25학번 교육방안 등을 설명하고, 수업 복귀 애로점 등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총리는 “사회부총리이자 교육부 장관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의대 교육이 정상화되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지난주에 의대생들이 바라는 대로 내년 의대 모집인원이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돌아간 데다가, 이 부총리와 의대생들의 만남도 성사된 만큼 교육 당국은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움직임이 누그러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이번 만남엔 수업 거부 투쟁을 이끄는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소속 간부 등은 참석하지 않았다.
현재 대학에선 의대생 중 30%가량은 수업에 복귀했고, 20∼30%는 수업 거부 강경파, 40%는 눈치를 보는 부류라 보고 있는데 의대협은 교육부의 소통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다.
이번 만남을 통해 마음을 정하지 않고 있는 40%를 움직인다면 복귀율이 높아질 전망이지만, 실제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27학년도 의대 정원을 논의할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구성은 본격화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의협 등 의사단체, 소비자·환자단체, 보건의료 학회·연구기관 등에 28일까지 추계위원 추천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내년 모집인원은 일단 3058명으로 돌아왔으나 2027학년도 정원부터는 복지부 장관 직속 독립 심의기구인 추계위 논의를 바탕으로 정해진다.
교육부는 내년에 한해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조정한다는 내용의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내년 모집인원 변경 절차에 착수했다.
세종=김유나 기자, 장한서 기자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