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저커버그도 관세 역풍…"테무·쉬인 광고 줄이면 메타 10조원 타격"

마크 저커버그 사진AFP연합뉴스
마크 저커버그 [사진=AF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의 여파로 테무나 쉬인 같은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광고비를 줄일 경우 메타 플랫폼이 올해 70억 달러(약 9조9673억원)의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CNBC 방송은 22일(현지시간) 시장 분석업체 모펫네이선슨의 보고서를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정책으로 중국 내 소매업체들이 광고 예산을 축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메타 계열 플랫폼의 광고 수입도 감소할 것으로 보도했다.
 
모펫네이선슨은 메타의 지난해 연례 경영보고서를 근거로 들며, 중국 관련 매출이 메타 전체 사업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메타의 지난해 중국 매출은 183억5000만 달러(약 26조원)로 총매출의 11%가 넘는다.
중국 매출은 대부분 테무와 쉬인의 광고비에서 나오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인상 이후 테무는 미국 광고 지출을 줄였으며, 이후 애플 앱스토어 순위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모펫네이선슨은 보고서에서 “중국은 메타의 사업에서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메타가 유럽 내 국가별 매출 내역을 공개하지는 않지만, 중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어 “중국에 메타 사용자나 활성 플랫폼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놀라운 실적”이라고 평가했다.
 
세계시장에 경기침체가 나타날 경우 메타가 입을 피해는 더 클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미·중 무역 분쟁으로 장기적인 경기침체가 실제로 발생하면 메타의 올해 광고 매출은 230억 달러(약 32조원) 감소하고, 영업이익도 최대 25%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어 “메타는 특히 중국 광고주들의 광고비 삭감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면서 “무역 긴장이 고조돼 경기 침체가 촉발될 경우 메타는 전반적인 광고 감소와 중국 업체들의 대미국 광고비 지출 감소하는 이중고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모펫네이선슨은 메타에 대해 여전히 ‘매수’ 등급을 유지했다.
다만 목표 주가를 185달러 낮춰 525달러로 조정했다.
 
한편 메타는 오는 30일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아주경제=이은별 기자 star@ajunews.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