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트럼프 “中과 2∼3주 안에 관세율 결정”… 연일 유화 메시지 [뉴스 투데이]

“얼마나 빠를지는 중국에 달려”
美 재무 “양국 빅딜 기회 있다”
車 부품 관세 일부 면제 검토도
中 “빅딜 위해선 상호존중 필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향후 2∼3주 안에 새 관세율을 정할 것을 시사했다.
중국과 100%가 넘는 관세를 주고받으며 세계경제 불안정성을 키운 가운데 미국 시장도 주가 하락, 국채 가격 하락, 달러 하락 등으로 고전하자 연일 낙관적인 메시지를 내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이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얼마나 빨리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내릴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중국에 달렸다.
결국 우리는 훌륭한 거래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전날 중국과의 협상 시 현재 145%에 달하는 대중 관세가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말한 데 이어 이틀째 중국에 유화적 입장을 보인 것이다.
올려다보는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의 북쪽 정원 노스론에서 정원 관리 책임자로부터 대형 깃대 설치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취재진에게 “백악관에 성조기를 게양할 높이 100피트(약 30m)에 달하는 두 개의 최고급 깃대를 설치할 것”이라며 설치 비용은 사비로 지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의 말대로 깃대가 설치되면 백악관 본관 옥상 외에 양쪽 정원인 사우스론, 노스론에도 대형 성조기가 게양된다.
워싱턴=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향후 2∼3주 안에 관세율을 (새로) 정할 것”이라며 “(이 새로운 관세율에는) 중국이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직접 협상이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의에는 “그렇다.
매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세 협상을 총괄하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국제금융연구소 주최로 열린 대담에서 미·중 관세 문제에 대해 “양측 모두 그것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이는 무역 금수조치(embargo)에 상응하는 것이며, 무역 중단은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내가 이전에 말했지만 (미·중 간) 빅딜의 기회는 있다”고도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48시간 동안 중국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톤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게 맞느냐는 질문을 받고 “대통령은 협상이 진행될 경우 그 시점을 직접 발표할 것이지만, 대통령과 우리 팀은 협상에 열려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며, 특히 다른 모든 국가에 대해서는 더욱 낙관적”이라고 밝혔다.

해싯 위원장은 중국과의 관세전쟁 탓에 트럼프 대통령이 소매업체의 진열대가 빌 것을 걱정하고 중국이 협상 테이블로 오기만을 기다리다 관세 정책을 고수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절대 아니다.
현재 지구상의 모든 나라가 우리와 협상 중이고, 중국은 이미 협상을 시작했다”고 반박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자동차 부품과 관련한 일부 관세를 면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행정부가 합성마약 펜타닐 수입과 관련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제품에 부과해온 관세(20%)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철강·알루미늄 관세(25%)에서 자동차 부품은 면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2일부터 전 세계 철강·알루미늄 및 그 파생 제품에 예외없이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자동차 부품도 관세 부과대상에 포함한 바 있다.

이 같은 방안이 실제로 시행되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 적용을 받은 전체 국가에 90일간 관세를 유예한 것에 이어 자국 경제를 우려한 또 하나의 관세 관련 후퇴 조치로 받아들여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협상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미국에 끌려가지는 않겠다는 태도가 분명하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24일 사설에 베선트 장관이 언급한 미·중 양국 간의 ‘빅딜’에 대해 “실제로 빅딜이 이루어지려면 상호 존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이 정말로 협상을 통해 우려를 해소하기를 원한다면 올바른 태도와 진정성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며 “한편으로는 중국과 합의를 원한다고 말하면서 동시에 최대한의 압박을 가하는 방식은 중국에 통하지 않을뿐더러 효과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매체는 또 “미국의 실수는 단순히 145%의 관세율이 너무 높다는 데 그치지 않는다”며 “보다 근본적으로는 무역 균형이라는 명분 아래 각종 무역 제한을 가하고 협상 과정에서 관세를 위협과 압박의 수단으로 사용해 왔다는 점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미국 모두 대국이며 대국답게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베이징=홍주형·이우중 특파원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럥큔�얜��쇿뜝占�
HTML�좎럥梨룟퐲占�
亦껋꼶梨띰옙怨�돦占쎌슜��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