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강 극한대치를 이어가던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이 타협점을 찾아가는 분위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 의지를 시사하는 등 유화 제스처를 취한 가운데 중국도 일부 미국산 품목에 대한 125%의 추가 관세를 이미 철회했거나 철회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이 공식 발표를 하지는 않았지만 미국산 반도체 관련 관세 면제 조치는 이미 무역현장에서 이뤄지기 시작했으며, 에테인과 의료 장비 등에 대한 관세 면제도 검토되고 있다고 외신과 중국 현지 매체 등이 25일 보도했다.
미국 CNN방송과 중국 차이징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최근 메모리칩을 제외한 미국산 반도체 8종에 대한 125% 추가 관세 철회 조치를 내렸다.
이미 납부한 관세도 환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수입 대행업체가 통관 과정 중 이러한 통보를 받았다면서 이같은 조치가 당국의 공식 발표 없이 조용히 이뤄졌다고 짚었다.
중국은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으나 여전히 미국, 대만, 한국, 일본, 네덜란드 등에서 들여오는 수입 제품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인텔과 텍사스인스트루먼츠, 글로벌파운드리스 등 미국 반도체 기업에 이익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주중미국상공회의소(암참)의 마이클 하트 회장은 "지난주 중국으로 의약품을 수입하는 과정에서 관세 면제를 받은 사례가 있다는 내용의 보고를 제약 분야 기업들로부터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번) 면세 조치는 업계 전반에 적용된다기보다는 특정 의약품에 한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당국이 의료 장비와 에테인과 같은 산업용 화학제품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목에 한해 관세를 면제해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세계 최대 플라스틱 생산국인 중국의 일부 공장들은 미국산 에테인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의 병원들도 GE헬스케어와 같은 미국 기업이 생산한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장치 등의 고급 의료 장비에 기대고 있다.
아울러 중국 당국은 항공기 임대에 관한 관세 면제 방안도 검토 중인데, 항공기를 직접 소유하지 않고 업체로부터 임대해 사용 중인 중국 항공사들의 재정적 부담이 크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다만 면제 대상 품목은 확정적인 것은 아니며, 아직 검토 단계이기 때문에 실제 면제 조치까지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 골드만삭스는 미중 무역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될 경우 에테인 외에 액화천연가스(LPG)에 대한 관세도 면제될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의 다안 스트루이븐 애널리스트 등은 보고서에서 "석유화학 원료는 역사적, 경제적 이유로 중국의 관세 면제 리스트 최우선 순위에 오를 수 있다"면서 "이들 품목은 2018년에도 기존 규제에서 면제된 바 있다"고 분석했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