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서울 | 정다워 기자] 객관적인 전력만 봐도 FC서울은 우승 후보다.
서울은 겨울 이적시장에서 ‘플러스’ 요소가 많은 팀이다.
문선민, 정승원, 김진수 등을 영입해 전력을 업그레이드했다.
기존의 린가드, 기성용, 야만, 이승모, 최준, 강현무 등이 건재하다.
마이너스 요소는 거의 없다.
선수 면면을 보면 K리그1에서도 최상급에 속한다.
스트라이커 영입이 아직 이뤄지지 않아 우려하는 시선도 있지만, 이미 스쿼드 자체가 강하다.
김기동 감독 2년 차에 접어드는 것도 플러스 요인이다.
지난해 서울은 4위에 자리했다.
전력을 고려할 때 만족스러운 결과는 아닐 수 있지만 2019년 이후 무려 5년 만의 파이널A에 진입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특히 시즌 후반기 경기력과 결과가 좋았기 때문에 2025년을 더 기대하게 한다.
K리그1 무대는 ‘현대가(家)’가 장악하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2017년을 시작으로 2021년까지 전북 현대가 5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세 시즌간은 울산HD가 챔피언 자리를 사수했다.
서울이 우승한 2016년이 현대가 외 팀이 정상에 선 마지막 해다.
현대가의 벽을 그 누구도 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우승 트로피가 울산, 전북으로 향하지 않는다면 종착역은 서울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축구 관계자들의 공통 의견이다.
실제로 K리그1의 많은 관계자가 서울을 우승 후보로 분류한다.
강력한 스쿼드는 기본이고 감독이 원했던 축구의 완성도가 더 올라가야 한다는 기대를 생각하면 당연한 현상이다.
실제로 K리그1 감독들은 서울을 우승 후보로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포항 스틸러스의 박태하 감독은 “서울도 좋은 선수들을 영입하면서 우승권에 도전할 만한 팀이 됐다”라고 평했다.
광주FC 이정효 감독도 “서울과 울산이 우승권”이라며 서울이 울산의 4연패를 막을 후보라는 생각을 밝혔다.
weo@sportsseoul.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서울(www.sportsseoul.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