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속 김준호, 男 500m서 3위
팀 스프린트 2위 아쉬움 달래
스노보드 강동훈, 男빅에어 銅
대회 2번째 동메달 목에 걸어
지난 주말 이틀간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11개를 쓸어담았던 한국 선수단이 10일에는 금메달 소식을 전하지 못했다.
스피드스케이팅과 스보노드 등에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따내며 중국(금 21, 은 18, 동 15)에 이어 종합 2위(금 11, 은 10, 동 9)를 유지했다.
빙속 단거리 간판 김준호(강원도청)는 이날 은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목에 걸었다.
그는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스피드스케이팅 오벌에서 열린 남자 500m에서 35초03의 기록으로 가오팅위(중국·34초95), 모리시게 와타루(일본·34초97)에 이어 3위에 올랐다.
가오팅위와는 0.08초 차의 아슬아슬한 승부였다.
지난 8일 열린 남자 100m에서 동메달을 딴 김준호의 이번 대회 두 번째 동메달이다.
![]() |
종횡무진 김준호가 10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스피드 스케이팅 오벌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에서 질주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강동훈이 같은 날 중국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스노보드 남자 빅에어 결선에서 공중 회전 묘기를 펼치는 모습. 하얼빈=뉴시스·로이터연합뉴스 |
김태윤(서울시청)은 35초22로 8위, 조상혁(스포츠토토)은 35초26으로 10위를 기록했다.
구경민(한국체대)은 35초47로 11위였으나 라인 크로스 중 주로 이탈로 실격 처리됐다.
김준호는 동메달의 아쉬움을 대표팀 동료들과 함께한 남자 팀 스프린트에서 은메달로 씻었다.
차민규(동두천시청), 조상혁과 함께 팀 스프린트에서 1분20초48 기록으로 중국(1분19초22)에 이어 2위에 올랐다.
동메달은 일본(1분20초72)에 돌아갔다.
대표팀은 2조에서 중국과 경쟁했다.
김준호, 차민규, 조상혁 순서로 뛴 대표팀은 첫 200m 구간에서 출전팀 중 가장 빠른 15초85에 통과했다.
400m 구간에서도 28초23으로 전체 1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김준호가 빠진 뒤부터 속도가 처지기 시작해 2위에 머물렀다.
빙속 여자 3000m에서는 박지우(강원도청)가 4분16초82로 5위, 강수민(서울시청)이 4분20초50으로 7위, 정유나(한국체대)가 4분27초68로 11위에 머물렀다.
스보노드에서는 강동훈(고림고)이 남자 빅에어에서 동메달을 따냈다.
강동훈은 중국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대회 스노보드 빅에어 결선에서 158.75점을 획득, 양원룽(193.25점)과 장신제(160.25점·이상 중국)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지난 8일 남자 슬로프스타일에 이어 강동훈의 이번 대회 두 번째 동메달이다.
이번에 첫선을 보인 빅에어는 스노보드 세부 종목 중 하나로, 하나의 큰 점프대를 도약해 공중 묘기를 펼쳐 경쟁하는 경기다.
심판 6명이 평가한 점수 중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4명의 점수 평균을 낸다.
선수들은 총 세 차례 경기를 펼치고 1~3차 시기 점수를 합산, 순위를 가린다.
1차 시기 77.75점으로 3위에 자리한 강동훈은 2차 시기에서 80.25점을 얻으며 합계에서 3위를 지켰고, 3차 시기(78.50점)까지 안정적인 연기를 펼쳤다.
남자부 메달 후보로 꼽혔던 이동헌(시흥매화고)은 연습 중 다쳐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여자부에 출전한 유승은(성복고)은 119.25점으로 4위, 최서우(용현여중)는 5위(85.25점)로 마쳤다.
한국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강호’ 카자흐스탄에 1-2로 역전패하며 조 2위로 8강에 올랐다.
한국은 아시안게임 남자부 3연패에 도전하는 카자흐스탄의 벽을 넘지 못하고 조별 예선 4연승 뒤 첫 패배를 안았다.
남정훈 기자 che@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