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스포츠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서울 vs 안양 ‘족보 더비’ 역사적인 첫 경기

K리그 매력 중 하나로 ‘라이벌전’이 꼽힌다.
FC서울과 수원 삼성이 맞붙는 ‘슈퍼매치’는 K리그를 넘어 국제축구연맹(FIFA)이 인정한 라이벌 매치다.
같은 모그룹을 둔 울산 HD와 전북 현대는 ‘현대가 더비’라는 이름 아래 치열한 승부를 펼친다.
1998 플레이오프에서 K리그 역사상 최고 명승부를 보여준 포항 스틸러스와 울산은 ‘동해안 더비’로 K리그 흥행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듯 라이벌전은 K리그에 재미를 더하는 존재다.

올 시즌 K리그는 새로운 라이벌전이 팬들을 사로잡을 전망이다.
연고지 문제를 두고 얽히고설킨 FC서울과 FC안양의 ‘족보 더비’다.
서울과 안양은 22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K리그1 첫 맞대결을 펼친다.
두 팀은 최근 미디어데이에서 연고지 문제와 관련해 신경전을 벌인 바 있다.
발단은 4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프로축구연맹 등에 따르면 1983년 충청도를 기반으로 한 축구팀 ‘럭키금성 황소’가 창단했다.
연고나 지역 기반이 무의미했던 시절에 럭키금성은 전국을 돌며 경기를 치렀다.
럭키금성은 1990년 연고지 정책 시행과 함께 서울에 자리를 잡았다.
이듬해 LG 치타스라는 새 이름을 달고 서울 동대문운동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그러다 1995년 서울 연고 팀을 지방으로 보내는 ‘서울 공동화 정책’에 따라 LG 치타스는 안양으로 가 뿌리를 내렸다.
그렇게 안양 LG 치타스가 됐지만 2002 한일 월드컵 이후 비어 있던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사용하기 위해 상경했고, 이름도 FC서울로 바꿨다.
팬들만 남긴 채 축구팀이 사라진 안양은 2013년 시민구단 FC안양을 출범해 K리그2에 뛰어들었다.


FC서울 입장에서는 ‘원래 연고지로 돌아온 것’(복귀)이지만 안양 팬 입장에선 ‘홈팀이 연고지를 떠난 것’(이전)인 셈이다.
2부리그(K리그2)에서 활약하던 안양이 2024시즌 정상을 차지하며 마침내 1부리그(K리그1)로 승격해 흥미로운 상황이 펼쳐지게 됐다.
자연스럽게 서울과 라이벌전 구도를 형성한 것이다.


프로축구연맹은 서울의 연고지 변경과 관련해 ‘이전’과 ‘복귀’ 중 어떤 것이 맞다고 답하기 곤란한 상황이라면서도 새 라이벌전 탄생을 반기는 눈치다.
연맹 관계자는 “지금 연고지 문제에 대한 해석을 명확하게 내놓는 건 한쪽 편을 들어준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조심스럽다”며 “라이벌전인 만큼 더 뜨거운 경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외 설전을 벌인 두 팀은 경기장에서도 화끈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우승후보로 평가받던 서울은 개막전에서 제주 SK에 0-2로 지면서 체면을 구겼다.
안양을 상대로 분위기 반전을 노린다.
반면 안양은 첫 경기부터 전년도 챔피언 울산을 1-0으로 잡아냈고, 첫 족보더비에서도 승리해 승격 돌풍을 이어가겠다는 각오다.

두 팀은 대한축구협회(FA)컵(현 코리아컵)에서 한 차례 맞붙었다.
2017년 4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32강전에서는 서울이 2-0으로 이겼다.
당시 안양 팬들은 킥오프에 앞서 대규모 홍염과 팀의 상징 색깔인 자주색 연막탄을 터트리며 응원의 열기를 높였다.
화약과 총포류를 경기장에 반입할 수 없다는 대한축구협회 규정에도 홍염과 연막탄으로 안양 선수들의 승리욕을 자극했다.

K리그1 첫 맞대결에서도 뜨거운 응원전이 예상된다.
20일 오후 기준 이 경기 티켓은 벌써 3만2000장이 팔려나갔다.
22일 서울 최저기온이 영하 7도까지 떨어질 것을 감안하면 폭발적인 수준이다.
서울은 경기 당일에는 4만명 이상이 경기장에 들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정필재 기자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