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T 조엘 카굴랑안. 사진=KBL 제공 |
남자프로농구가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면서 신인왕 경쟁에 시선이 쏠린다.
KT는 조엘 카굴랑안과 박성재가 집안 싸움을 벌이고 있고, 소노 이근준과 현대모비스 2년 차 가드 미구엘 안드레 옥존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10개 구단이 10~12경기를 남겨둔 가운데, 새싹들은 최고의 신인이라는 타이틀을 얻기 위해 페이스를 올린다.
![]() |
KT 조엘 카굴랑안. 사진=KBL 제공 |
KT는 이제껏 한 번도 신인왕을 배출한 적이 없다.
집안싸움에도 활짝 미소 짓는 배경이다.
신인상 경쟁에서 가장 앞서 있는 건 카굴랑안이다.
10일 현재 16경기에 나서 평균 19분13초 동안 7.3점 2.1리바운드 3.9어시스트 1.9스틸을 기록 중이다.
에이스 허훈과 같이 코트를 밟으며 포인트가드로서 공수에서 모두 활약하고 있다.
역대 두 번째 아시아쿼터 출신 신인왕을 노린다.
한국프로농구연맹(KBL)은 아시아쿼터 선수를 수상 목록에서 외국인 선수가 아닌 국내선수로 분류하고 있다.
2022~2023시즌 현대모비스 소속 론제이 아바리엔토스가 KBL 최초 외국 국적 신인왕을 차지한 바 있다.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카굴랑안은 KT의 남은 경기 12경기 중 11경기에 나서야 신인왕 자격을 얻는다.
KBL 규정에 따라 출전 가능한 경기 가운데 1/2 이상을 소화한 선수만 신인상 후보에 이름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수상을 위해선 부상을 가장 견제해야 한다.
자리를 이탈하는 순간 신인상 후보에도 들지 못할 수 있다.
![]() |
KT 박성재. 사진=KBL 제공 |
이번 시즌 드래프트서 2라운드 2순위로 KT의 부름을 받았으나, 스스로 기회를 찾아가고 있다.
19경기에 나서 평균 14분41초 동안 4.4점 1.7리바운드를 작성했다.
특히 최근 3경기서 평균 20분 이상 소화하며 7점을 올리는 등 페이스가 좋다.
후배들의 선의의 경쟁에 고참도 엄지를 치켜세운다.
문성곤은 “우리 후배들이 최고다.
누가 되든 꼭 KT에서 나왔으면 한다”면서 “경기가 많이 남지 않았지만 카굴랑안은 한국 농구 스타일을 더 파악하고, 박성재는 스페이싱 타이밍을 알게 되면 더 좋아질 것”이라고 미소 지었다.
![]() |
소노 이근준. 사진=KBL 제공 |
소노 이근준과 현대모비스 옥존이다.
이근준은 올 시즌 1라운드 2순위로 소노에 합류했다.
지난해 12월부터 꾸준히 출전 시간을 부여받아 신인왕 레이스에서 선두를 차지했다.
고졸 신인의 패기가 매섭다는 평가도 나왔다.
다만 무릎 부상으로 한 달간 자리를 비우면서 밀리기 시작했다.
19경기 평균 20분9초 5.2점 4.5리바운드를 마크하고 있다.
중고신인 옥존도 도전장을 내민다.
KBL은 데뷔 시즌 출전 가능한 경기수의 1/2 미만 출전한 선수의 경우 두 번째 시즌에도 신인상 자격을 부여한다.
옥존이 KBL에서 두 번째 시즌을 보내고 있지만, 자격이 있는 이유다.
올 시즌 39경기에 나서 15분58초 동안 5.0점 1.7리바운드 1.8어시스트를 기록했다.
문제는 발목 부상으로 잠시 자리를 바운다는 점이다.
![]() |
현대모비스 미구엘 안드레 옥존. 사진=KBL 제공 |
이번 드래프트는 지난해 11월15일 열렸다.
KBL은 출전 가능한 경기 1/2 이상을 소화한 선수에게만 신인상 자격을 부여한다.
시즌 중반에 드래프트가 열려 신인은 각 팀의 12번째 경기부터 출전이 가능했다.
이에 따라 나설 수 있는 43경기의 50%인 22경기 이상 출전해야 신인상 자격을 얻는다.
최서진 기자 westjin@sportsworldi.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월드(www.sportsworldi.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