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KT 위즈 제공 |
믿었던 뒷문이 흔들린다.
2025시즌 KBO리그가 개막하자마자 각 팀의 마무리와 셋업맨이 잇달아 무너지며 예측불가의 승부가 속출하고 있다.
삼자범퇴는 언감생심이다.
일종의 적신호가 켜졌다.
후반 운영의 핵심 축인 필승조가 흔들리면 팀 전체 구상도 흐트러지기 마련이다.
KT의 마무리 박영현도 그중 한 명이다.
2023년 프로 데뷔 후 매년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지난해부터 클로저를 맡고 있다.
올 시즌은 한화와의 개막 시리즈부터 동점 홈런을 허용, 블론세이브를 기록했다.
이후 두산과 롯데를 상대로 연이어 세이브를 수확했지만, 투구 내용은 여전히 아슬아슬하다.
4경기 동안 6피안타 2피홈런 평균자책점 5.06(5⅓이닝 3자책)를 남겼고,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은 2.06, 피안타율은 0.316이다.
![]() |
사진=KIA 타이거즈 제공 |
디펜딩 챔피언 KIA는 조상우 합류 효과를 아직까진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
키움서 국가대표 철벽으로 거듭난 그는 KIA 트레이드 이적 후 마무리 정해영 앞을 책임지는 셋업맨을 맡았다.
매 등판이 힘겹다.
첫 4경기 등판 가운데 피안타율은 0.455, WHIP는 3.50에 달한다.
폼을 끌어올리는 과정이다.
조상우는 지난 30일 대전 한화전은 멀티이닝 소화(1⅔이닝) 및 무실점을 기록, 반등 계기를 마련했다.
팀 동료 좌완 곽도규 역시 반등투가 절실하다.
그 역시 올 시즌 4경기 등판, 평균자책점 27.00(1⅓이닝 4자책)에 머무르고 있다.
![]() |
사진=한화 이글스 제공 |
한화는 끝내 뒷문 보직을 재편성했을 정도다.
시즌 초반부터 마무리와 셋업이 동시에 흔들렸기 때문. 지난해부터 마무리로 거듭난 주현상은 3경기 6피안타 1피홈런 평균자책점 20.25(1⅓이닝 3자책)를 기록한 뒤 지난 27일 1군에서 말소된 바 있다.
마무리는 결국 3년 차 파이어볼러 김서현에게로 넘어갔다.
뿐만 아니라, 셋업맨 한승혁은 첫 3경기서 WHIP 2.57·피안타율 0.364에 그치는 등 역시 안정감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4번째 등판이었던 대전 KIA전에선 1이닝 삼자범퇴를 마크, 조금씩 회복하는 모양새다.
신구장서 2승1패 위닝시리즈로 기분 좋은 시작을 알린 독수리 군단이지만, 불펜 불안은 여전히 과제다.
![]() |
사진=키움 히어로즈 제공 |
베테랑 원종현(키움)도 반등이 필요하다.
3년 전 겨울 새 둥지를 틀었지만, 그간 부상으로 많은 경기를 소화하지 못했다.
달라진 모습을 다짐한 올 시즌, 힘든 투구를 이어가고 있다.
3경기 등판서 11타자 상대 아웃카운트 6개(4자책·평균자책점 18.00)를 잡는 데 그쳤고, 블론세이브 하나에 홈런을 두 차례나 내줬다.
NC는 올 시즌 선발로 전환한 이용찬의 자리를 대신해 류진욱을 마무리로 낙점했다.
성장통을 크게 겪고 있다.
세이브 하나를 올리긴 했으나, 매 등판 실점을 허용하고 있다.
3경기 3이닝을 던져 평균자책점 12.00(4자책)에 머물렀다.
WHIP 2.00, 피안타율 0.385도 마무리에겐 어울리지 않는 수치다.
시즌은 이제 막 시작됐지만, 대다수 사령탑은 초반 흐름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분위기를 빠르게 틀어쥐어야 정규리그 장기 레이스를 수월하게 운영할 수 있다는 뜻이다.
뒷문이 흔들리면 1년 농사에도 지장을 준다.
불안에 휩싸인 각 팀의 필승조가 얼마나 빨리 안정을 찾느냐가 한 시즌 성패를 가를 열쇠가 될 전망이다.
![]() |
사진=NC 다이노스 제공 |
김종원 기자 johncorners@sportsworldi.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월드(www.sportsworldi.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