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 느려 초반 주도권 못 잡아
경주 운영 능력 ↓ … 역전 빌미 제공
조미화·이현준·황동규 활약 희망
경정 17기가 소포모어(2년차) 징크스에 빠져 허우적거리고 있다.
출발 반응속도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조언이 나오고 있다.
경정 17기는 지난해 6월 경정훈련원을 졸업하고, 곧바로 실전 경주에 출전했다.
미사 경정장 적응과 실전 경기 감각을 끌어올리기 위해 4회차 동안 신인들로만 편성해 경기를 펼쳤고, 그 이후에는 선배들과 혼합 편성되어 경기를 치렀다.
지난해 17기는 총 29승을 기록하며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 |
17기 10명의 선수는 12회차 기준 151경기에 출전해 5승을 수확하는 데 그쳤다.
경정 관계자는 “경험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기량 차이도 날 수밖에 없다.
이런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역대 기수의 2년차 기록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성적”이라고 지적했다.
17기 선수들이 올해 유난히 고전을 거듭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첫 번째는 전체적으로 느린 출발 반응속도라는 분석이다.
현재 17기의 평균 출발 반응시간은 0.276초 정도로 집계된다.
상위권 선수들의 평균 출발 반응시간이 0.17∼0.21초인 것과 비교해 본다면 초반 주도권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실제 17기 가운데 출발 반응속도가 빠른 선수들은 상위권 성적을 내고 있다.
0.16초로 동기 중 압도적인 출발 반응속도를 보이고 있는 황동규(17기, B2)는 올해 1착과 2착 각 1회와 3착 2회를 기록했다.
이어 0.22초의 조미화(17기, B1)도 1착 2회를 기록했으며, 0.23초의 이현준(17기, B2) 역시 1∼3착 각 1회를 기록해 17기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 |
조미화 |
![]() |
이현준 |
데뷔 2년 차지만, 정식 선수로 활동한 것은 9개월 밖에 되지 않는다.
경험 부족이 경기 내용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첫 번째 1턴 마크의 선회 각과 2턴 마크에서의 선회각이 다르다는 점은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로 인해 유리한 코스에서도 역전의 빌미를 제공해 성적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병주하는 상황(모터보트가 앞뒤가 아닌 나란히 달리는 형태)에서의 상황 대처 능력도 아직은 많이 부족한 모습이다.
이서범 예상지 경정코리아 경주 분석위원은 “현재 경정은 어선규, 심상철, 김완석, 김종민, 김응선 등 최소 11기 이상의 선수들이 다승 순위 상위권을 차지하는 등 어느 해보다 선배 기수들의 활약이 남다른 상황이기에 신인들이 설 자리가 비좁은 것은 사실”이라며 “17기 조미화, 이현준, 임건, 황동규 등은 출발 반응속도가 상위권 선수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좋은 만큼, 인코스를 배정받거나 좋은 모터를 배정받은 경주라면 눈여겨볼 필요가 있겠다”고 전했다.
권영준 기자 young0708@sportsworldi.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월드(www.sportsworldi.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