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염경엽 LG 감독(왼쪽 두 번째)이 11일 잠실 두산전에서 심판진을 향한 욕설로 퇴장을 당한 후, 코칭스태프와 선수단의 만류에도 강한 항의를 펼치고 있다. 사진=LG트윈스 제공 |
심판진과의 충돌로 퇴장 당한 염경엽 LG 감독에 대한 KBO 상벌위원회가 열렸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15일 “이날 KBO 컨퍼런스룸에서 상벌위를 개최하고 LG 염경엽 감독에 대해 심의했다”고 전했다.
그 결과 상벌위는 KBO리그 규정 [벌칙내규] 감독, 코치, 선수 제3항과 제7항에 의거해 염 감독에게 제재금 200만원의 제재를 결정했다.
KBO는 “염 감독은 지난 11일 잠실 두산-LG 경기에서, 5회말 심판 판정과 설명에 불복하며 욕설을 해 퇴장 당한 바 있다.
염 감독은 퇴장 조치를 받은 후에도 심판을 배로 밀치는 행위로 구장 질서를 문란케 했다”고 제재 사유를 밝혔다.
당시 1-2로 뒤진 LG의 5회말 공격, 1사 1루에서 이주헌이 때린 3루 강습 타구가 몸을 날린 3루수 강승호의 글러브에 들어갔다가 떨어졌다.
김갑수 3루심은 페어를 선언했다.
강승호가 공을 2루에 던져 선행주자는 아웃됐고, 타자 이주헌은 1루 진루에 성공했다.
급박한 상황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한 양 팀이 각자의 후속 플레이를 하면서 그라운드가 어수선해졌다.
두산 내야진은 혹시 모를 직선타 상황을 대비해 선행주자와 타자주자를 모두 태그하기도 했고, 이를 파울 상황으로 여긴 이주헌은 배트를 들고 타석으로 다시 돌아가기도 했다.
심판진이 교통정리에 나섰다.
상황을 묻기 위해 그라운드에 나타난 이승엽 두산 감독은 심판 설명을 듣고 다시 더그아웃으로 물러나기도 했다.
그러나 염 감독의 생각은 달랐다.
정황상 심판진에서 나온 타임 제스처를 파울 사인으로 오해해 강한 항의를 펼쳤다.
이 과정에서 이영재 1루심과 격한 언쟁이 오갔다.
염 감독이 욕설을 내뱉었고, 배병두 주심이 곧장 퇴장을 선언했다.
이후에도 염 감독은 몸으로 이영재 심판을 밀치는 일명 ‘배치기’ 항의까지 불사했다.
LG 코칭스태프와 선수단까지 달려나와 그를 말리고서야 갈등이 일단락 됐다.
사실 심판진의 타임 선언은 문제가 없었다.
최초 페어 판정이 확실히 나왔고, 두산 내야진의 플레이가 마무리된 후에 권영철 2루심이 타임을 부르기 위해 두 손을 들었다.
나머지 심판도 그에 맞춰 함께 타임을 외쳤다.
파울 선언도 아니었고, 인플레이 중 타임이 나온 것도 아니었다.
![]() |
서울 강남구 야구회관에 걸린 KBO 대형 로고. 사진=뉴시스 |
김병주 KBO 심판위원장은 “염 감독께서 그 상황을 오해한 것 같다.
플레이 중에 타임을 거는 심판은 없다.
이것 때문에 (이영재 심판과) 목소리가 높아졌다고 들었다.
둘 다 감정이 격해지면서 그런 상황이 펼쳐졌다”고 설명했다.
염 감독은 다음날인 지난 12일 경기를 앞두고 “후회하고 있다.
선수들도 깜짝 놀랐을 거고, 무엇보다 경기장을 찾은 만원 관중들 앞에서 경솔한 행동을 보였다.
정말 죄송한 마음”이라고 고개를 숙였다.
진심 어린 사과였지만, 제재는 최종적으로 이뤄졌다.
심판진 욕설로 인한 감독 징계는 2010년대 들어 4번째다.
2014년 9월 7일 대전 LG전에서 김응용 전 한화 감독이 욕설로 인해 제재금 200만원과 엄중 경고를 받은 게 마지막이었다.
그 이전에는 한대화 한화 전 감독이 2011년 5월 12일(잠실 LG전), 2010년 6월 9일(잠실 LG전)에 같은 이유로 각각 엄중경고-구두경고를 받았다.
‘배치기 항의로 인한 구장 질서 문란 야기’로 징계에 이른 최근 사례는 김원형 전 SSG 감독이 갖고 있다.
2021년 7월 4일 문학 롯데전에서 심판을 밀쳐 제제금 100만원과 엄중 경고를 받았다.
이강철 KT 감독도 2019년 7월 7일(대전 한화전), 2021년 8월 31일(대전 한화전)에 같은 이유로 각각 제재금 100만원-200만원의 징계를 받은 바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월드(www.sportsworldi.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